dos2 물리전자_#5.케리어농도(정리) 처음에 설명했던 식을 다시 살펴보자 아래의 사진은 위 사진의 식을 잘 나타내고 있다. 에너지가 증가하면 전자의 상태밀도는 증가하고, 전자가 존재할 확률은 낮아짐을 볼수 있다. 위의 반도체는 Ef가 중간보다 위인것을 보니 조금만 에너지를 가해도 자유전자(케리어)가 생기는 상황이다 즉, n형으로 도핑됐다. 마지막 그래프는 두개의 그래프를 곱한뒤에 적분한 결과이다 즉, 케리어의 농도를 의미한다 그러면 우리는 는 위와같은 양상이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우리는 그토록 알고싶었던 케리어의 농도 분포가 어떻게 되는지를 아는것이다. 아하 케리어의 농도분포는 저런식으로 되는구나 그렇다면 수식으로 정확한 값을 구해봐야겠다!! 그에 앞서 우리는 진성반도체(도핑하지 않은 si로만 이루어진 순수반도체)에 대해서 알아.. 2021. 2. 3. 물리전자_#4.케리어농도(유효질량,DOS, 페르미함수) 저번 장에서 케리어 농도식을 설명하기 위해 학교를 비유로 들어 설명했다 (앞장을 안보신 분들은 앞장을 참고 해주세요) 이어서 에너지(n학년)가 전자가 존재할 확률(n학년에 학생이 존재할 확률)과 상태밀도(n학년의 학급수)와 각각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설명해보자 우선, 전자가 존재할 확률부터! 전자가 존재하는 확률은 페르미 함수라는 식으로 나타낸다 페르미 함수는 E를 변수로 가진다 즉, E가 변함에 따라 그 값도 바뀐다 그래프를 보면 E와 전자를 발견할 확률은 반비례 함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중요한 요소는 바로 Ef이다 Ef = 전자가 발견될 확률이 50%인 E이다 그래서 F(Ef) = 1/2가 나옴을 볼 수 있다. 또 그래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바로 T(온도)이다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E의 영향이 적.. 2021. 2. 3. 이전 1 다음